NeuroWhAI의 잡블로그

실시간 지진계 파형 보는 방법 - Swarm 사용법 본문

자료

실시간 지진계 파형 보는 방법 - Swarm 사용법

NeuroWhAI 2018. 2. 16. 14:40


최근들어 한국에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이에따라 불안감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중 몇분은 이런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직접 지진계 파형을 보고싶어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이 글에서 알려드리긴 하겠지만 사실 비추천 드립니다.
일단 PC에서만 돌아가는데다가 알람기능도 없어서 불편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개인이 다루기엔 툴이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오히려 지진계에만 감지되는 매우 작은 파형을 가지고 두려움을 느끼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실시간 지진계 방송의 채팅을 보면 그런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또한 너무 많은 사람들이 이 툴을 써서 자료를 받게 되면 파형 서버에서 아예 전체 차단을 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도 있습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신 뒤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실시간 파형을 보셔야 하겠다면 KEQ 24 통합 지진방송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영상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여기선 채팅으로 관리자분들께서 지진계의 파형에 관해 설명해주시기도 합니다.
아니면 제가 개발한 지진봇을 함께 쓰시는 것도 좋습니다 ㅎㅎ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일단 Swarm을 다운로드 해야겠죠?
사실 구글에 'USGS Swarm'이라고 검색하기만해도 바로 나오지만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 링크로 접속하신뒤

빨간네모 친 링크를 누르시면 다운로드가 될겁니다.
버전은 나중에 바뀔 수 있으니 Current release(현재 배포)란에 있는 버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받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압축파일이 하나 받아질텐데요.
압축을 풀어줍시다. (압축을 푸실 줄 모르신다면 더이상 진행하지 않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폴더에 아래와 같은 내용물이 나올겁니다.


복잡해보이지만 그냥 swarm_console.bat을 더블클릭하시면 실행이 될겁니다.
(리눅스 쓰시면 swarm.sh일테지만 리눅스 쓰실 정도면 혼자서도 잘 하실테니 패스)

혹시 실행이 안되시나요?
아마 java가 깔려있지 않아서 그럴겁니다.
자바 설치 방법이야 인터넷에 널려있으니 따로 적지는 않겠지만 다운로드 링크정도는 적어두겠습니다.

실행하시면 이상한 글자들이 나오다가 이런 창이 뜰겁니다.


와우! 이제 반은 하신겁니다.

여기서 잠깐 이론적인 설명을 드리자면 지진계는 기본적으로 특정 네트워크에 속해있습니다.
IU, KS, KG 뭐 이런 것들입니다.
특정 지진계를 찾고싶으시면 아래 사이트가 있습니다.

물론 직접 저기서 찾으시게 하진 않을겁니다.
하지만 안타까운 소식을 전해드리자면 국내 지진계 중 개인이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건 몇 개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국내는 IU_INCN(인천), KG_TJN(대전) 이 둘 뿐이고
그나마 국내에서 가까워서 자주 쓰이는 JP_JTU(쓰시마섬) 정도가 더 있습니다.
이전엔 KS 네트워크도 되었어서 부산이나 서울도 가능했는데 지금은 안됩니다.
또한  KEQ 24 통합 지진방송 채널에서 보여주는 포항 지진계는 개인 소유라서 보실 수 없습니다.

아무튼 설명은 이쯤하고 지진계를 추가해보겠습니다.


동그라미 친 버튼을 누르면 아래 창이 뜰겁니다.


젤 위의 Data Source Name은 그냥 아무거나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탭은 FDSN WS를 눌러서 아래처럼 적어줍시다.


(복붙용)
http://service.iris.edu/fdsnws/station/1/query

지진계 데이터를 얻어올 주소를 설정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Update 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 목록이 뜰겁니다.


여기서 젤 앞의 두 글자가 제가 말했던 네트워크 입니다.
IU, KG, JP를 찾을껀데 KG부터 해봅시다.

이렇게 찾으신 다음 선택해줍시다.

다음은 이제 이 네트워크의 어떤 지진계의 어떤 정보를 얻을건지 기입해야 합니다.
이부분도 이론적인 설명이 필요하니 잠시 적어보겠습니다.

지진계는 일단 네트워크에 속한다고 말씀 드렸었고요.
파형을 얻기 위해서 더 세부적인 정보가 필요한데 스테이션, 채널, 위치(?) 이 3개가 있습니다.
스테이션은 말 그대로 관측소(지진계) 이름이며
채널별로 센서의 종류나 축(Axis)이 다릅니다.
위치는 저도 잘 모르겠는데 보통 없거나 00을 많이 씁니다.
이 정보는 아까 알려드렸던 http://ds.iris.edu/mda 이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지만
귀찮으신 분들은 제가 하라는대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KG 네트워크를 선택하셨으면 아래와 같이 대전 지진계의 정보를 입력해줍시다.


Station(스테이션) : TJN(대전)
Channel(채널) : BHZ
Location(위치) : --
이렇게 하시고 OK 버튼을 눌러줍시다.
(사실 입력안하고 OK하면 전체 지진계 목록이 나오는 기능이 있는데 그러면 KG는 몰라도 IU, JP에선 찾기 힘듭니다)


그럼 좌측 목록에 이렇게 아까 설정한 이름으로 추가가 될겁니다.
저걸 더블클릭 하셔서 계속 펼치시면 추가한 지진계가 보입니다.


동그라미 친 지진계를 선택하시고


위 버튼을 누르시면


짠!
나옵니다.

다만 어느정도 설정을 만져줘야 좀 볼만해지는데 일단 파형 길이가 너무 짧으니까 늘려보겠습니다.


위 버튼을 원하는 모습이 될때까지 눌러서 파형 수집 길이를 늘려봅시다.
좀 괜찮아졌죠?

그런데 지금 보시면 파형 진폭(높이)이 너무 큽니다.
기본적으로 Autoscale 모드라서 파형 진폭에 따라 자동으로 확대/축소가 되는데
Manual scale로 바꿔봅시다.


위 버튼을 눌러서 세팅창을 여시고


이렇게 맞춰봅시다.


이제 좀 덜 위협적(?)이죠?
다만 Manual scale로 하면 설정한 값보다 큰 진동이 발생했을때 위아래가 잘립니다.
그걸 방지하려면 설정했던 최대, 최소값을 더 늘리시거나 Autoscale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설정은 원하시는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잘 보시면 저주파, 고주파 필터라거나 여러 옵션이 있고
파형을 보는것 자체도 다른 기능이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아, 중요한걸 빼먹을뻔 했네요.
대전은 추가하셨으니 다른 지역도 알려드려야죠.

인천
- Network : IU
- Station : INCN
- Channel : BHZ
- Location : 00

쓰시마섬
- Network : JP
- Station : JTU
- Channel : BHZ
- Location : --

사용법은 이걸로 끝입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당부의 말씀을 드리자면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으시는걸 추천드리고 다른 실시간 방송이나 라인 지진 알림을 구독하시는게 더 좋으실겁니다.
아무쪼록 별일 없길 빕니다.

그럼 이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