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료 (72)
NeuroWhAI의 잡블로그
https://www.youtube.com/watch?v=27j7_dOniWk 하필 터널 진입 직후에 사고가 나서 진입 전 운전자들이 사고 상황을 늦게 인지했을 확률이 커 보이네요. 터널 진입 전에도 내부 상황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정녕 없는 걸까요...

https://neurowhai.github.io/Anime4K/ Anime4K neurowhai.github.io 얼마전 GitHub에 Anime4K라는 저장소를 발견해서 관심있게 보다가 GLSL 코드를 WebGL쪽 쉐이더로 포팅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만들었습니다. 서버없이 순수하게 여러분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며 거의 실시간으로 업스케일링 해줍니다. 동영상도 가능은 한데 따로 저장하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이미지는 뭐 우클릭 하셔서 저장하시면 되고요... 이름에서 알 수 있지만 애니메이션 사진만 됩니다. 게다가 그라데이션이 많은 경우 품질이 더 떨어지고요. 아래는 예시 비교 사진입니다. 클릭해서 보시면 차이가 더 잘 드러납니다.

2019년 07월 21일 11시 04분 18초 경북 상주시 북북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3.9, 최대 진도 IV(4)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지진봇도 해당 정보를 송출하였고 아래는 관련 보고입니다. 오전 11:04:51 > ## Critical Level ## 대전 속도계의 진동에 관한 조기 분석 결과. 수치 : 122.73% 진도 : I 지속시간 : 약 0.050초 이상 진동 수치 : 0.012 이상 [진도(MMI) I 특징] 미세한 진동. 특수한 조건에서 극히 소수 느낌. 지진 발생 약 33초 뒤 대전 지진계로부터 역치 이상의 지진동을 전달 받아서 최초 알람이 송출되었습니다. 진도가 I(1)로 나오는 것은 감지한 진동이 P파로 인한 것이기에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이 직후 재난문자가 수신되었으며 ..

원본 출처이자 해상도가 높은 파일(SHP)은 아래 링크에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gisdeveloper.co.kr/?p=2332 대한민국 최신 행정구역(SHP) 다운로드 – GIS Developer www.gisdeveloper.co.kr 위 데이터를 그대로 쓰려니 폴리곤이 너무 복잡하여 렉이 걸리더군요. 또 shp파일이라 geojson으로 변환하는 작업도 필요했구요. 이쪽 분야는 잘 몰라 고생을 꽤나 했기에 저처럼 단순화된 행정구역 geojson 파일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파일들을 공유드립니다. 여기엔 없고 출처에만 있는 읍면동, 리 파일도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변환 방법도 간략하게 적어두겠습니다. 1. SHP.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2. mapshaper에서 'sele..

지진봇 : https://neurowhai.tistory.com/13 기상청에 따르면 2019년 04월 19일 11시 16분 43초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32km 깊이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이 지진으로 최대진도 Ⅳ(강원), Ⅲ(경북), Ⅱ(경기, 충북)가 관측되어 실시간 검색어에 지진이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30초도 되지 않아 규모 4.2로 예상된다는 지진 속보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지진으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음은 지진봇 보고입니다. 지진봇은 지진 발생 약 3분이 안되어 최초 알림을 송출하였습니다. 아래는 그 내용입니다. 오전 11:19:00 > ## Critical Level ## 대전 속도계의 진동에 관한 조기 분석 결..

Captura는 오픈소스로 개발된 다기능 캡쳐 프로그램입니다. 화면, 웹캠, 오디오를 녹화할 수 있으며 커서를 표시할 수도 있고 클릭이나 키 입력을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무료이며 워터마크, 광고 일체 없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영어라서 그런지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프로그램이라 소개글을 써봅니다. 다운로드 : https://mathewsachin.github.io/Captura/download 링크에서 설치 파일이나 포터블 실행 파일을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3MB가 안되는 가벼운 용량을 자랑합니다 ㅎㅎ 공식 사이트에 나열된 기능을 나열해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스크린샷 찍기 동영상 녹화(Avi, Gif(움짤), Mp4) 마우스 커서 포함/미포함 특정 영역, 모니터, 창 캡처 가능 마우스 클릭, 키..

※ 저는 학생 수준도 아니라서 단순히 이런 것이 있더라 하는 글 정도로만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ㅎㅎ.. 먼저 Two Minute Papers 채널의 영상을 보시겠습니다. 약 한 달 전에 구글에서 PlaNet이라는 강화학습 모델을 공개하였습니다. 과거의 환경 정보만 가지고 미래의 행동과 환경을 예측 수행하여 최선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계획을 한다는 점에서 Plan이란 단어를 써 Net과 합친 이름인 것 같습니다. 기존 강화학습 알고리즘에 비해 점수가 크게 향상된 건 아닌 듯 하지만 미래를 예측하여 학습하므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50배 줄었다고 합니다. 또한 새로운 게임을 학습할 때 바닥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게임에서 학습한 중력, 속도와 같은 공통의 개념을 가진 채로 학습을 이어 진행할 수도..
https://github.com/JoYoungjoo/SC-FEGAN 생성 모델은 직관적으로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나와서 그런지 정말 마법 같은 속도로 발전하네요..
지진봇은 개인이 운영하는 텔레그램 채널로서 국내 지진 관련 알림을 제공합니다. 지진봇 : https://neurowhai.tistory.com/13 기상청에 따르면 2019년 02월 10일 12시 53분 38초 경북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50km 해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이 지진으로 경북 일부 지역과 울산에서 최대 진도 III(3)의 흔들림이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기상청은 초기 속보로 규모 4.0에 최대 진도 II(2)를 송출하였으며 이후 상향 발표를 하였습니다. (대전 지진계에서 감지된 파형) 지진봇은 지진 발생 약 2분뒤 대전 지진계에서 감지된 진동 정보를 송출하였으며이어서 트위터에서 실시간으로 지진 트윗의 증가를 감지하여 해당 내용을 송출하였습니다.아래는 그 내용 중 일부..
다운로드 :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password-checkup/pncabnpcffmalkkjpajodfhijclecjno Password Checkup은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배포하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입니다. 설치만 해두면 나중에 어느 사이트에서든지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비밀번호의 유출 여부를 알려준다고 합니다. 일단 제가 주로 사용하는 계정은 문제가 없는 것 같네요 ㅎㅎ 참고 http://m.zdnet.co.kr/news_view.asp?article_id=20190206092407 https://www.blog.google/technology/safety-security/google-password-checkup-cross-account-prote..